반응형

webflux 2

실습으로 확인하는 tomcat server vs netty server

안녕하세요. 소스를 분석하다 tomcat 서버에 webclient를 사용한 것을 보고 의문이 생겨 테스트를 한 결과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제가 공부한 결과로는 reactive programming은 비동기와 non-blocking으로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구현이 중요하다고 기억하고 있습니다. 제가 전에 알고 있던 내용이 맞다고 확신하여 몇 가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비동기 호출이 필요할 때 tomcat 서버여도 webclient를 사용해도 나쁘지 않았다. (async restTemplate은 테스트하지 않았습니다.) reactive programming의 제대로된 활용은 netty 서버이다. reactive를 지원하지 않는 서버가 있으면 reactive 성능은 반감된다. 글의 ..

Java 2022.07.12

CodecException: 500 Server Error

글 순서 : 프로젝트 생성(의존성의 관계) -> 발생했던 상황 -> 에러 코드 -> 원인 확인 -> 문제의 지점 체크 -> 해결 방안 핵심 상황: Spring Boot의 initializar를 통해 WebFlux 라이브러리를 추가한 예제 프로젝트에서 1. RestTemplate.exchange()를 사용할 때, 2. 또 WebClient를 사용했을 때 발생한 Exception이다. 3. 두 Request는 공통적으로 사용자 정의 객체를 담고있는 List와 Flux이다. Error 내용 ...더보기 응답 메시지 { "timestamp": "2019-08-20T17:40:30.328+0000", "path": "/non-blocking", "status": 500, "error": "Internal Serv..

WEB 2019.08.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