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34

__minikube_handle_flag_96: bad math expression: operand expected at end of string

__minikube_handle_flag_96: bad math expression: operand expected at end of string 어느 순간부터 kubectl create -f lo[tab] tab으로 자동완성 하려고 하면 에러가 나서 제대로 보이지 않던 현상이 발생하여..... 참 많은걸 재설치 했습니다만. zsh 재설치 하니 문제가 사라졌습니다. rm -rf ~/.oh-my-zsh rm ~/.zshrc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com/robbyrussell/oh-my-zsh/master/tools/install.sh)"

카테고리 없음 2022.07.21

실습으로 확인하는 tomcat server vs netty server

안녕하세요. 소스를 분석하다 tomcat 서버에 webclient를 사용한 것을 보고 의문이 생겨 테스트를 한 결과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제가 공부한 결과로는 reactive programming은 비동기와 non-blocking으로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구현이 중요하다고 기억하고 있습니다. 제가 전에 알고 있던 내용이 맞다고 확신하여 몇 가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비동기 호출이 필요할 때 tomcat 서버여도 webclient를 사용해도 나쁘지 않았다. (async restTemplate은 테스트하지 않았습니다.) reactive programming의 제대로된 활용은 netty 서버이다. reactive를 지원하지 않는 서버가 있으면 reactive 성능은 반감된다. 글의 ..

Java 2022.07.12

git commit history 삭제 (push한 내용 포함)

순서 git log 확인 git reset 삭제 반영 확인 remote에 반영 git log git log 맨 최신순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git reset git reset HEAD~3 HEAD~(지우고 싶은 commit 개수), 위 예제 기준으로 3이면 23dff 커밋까지 삭제됩니다. 삭제 반영 확인 - git log git log 잘 지워졌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remote에 반영 git push -f origin [브랜치명] 브랜치 명이 없으면 main(일반적으로 master)입니다. -f 또는 --force로 강제한다는 명령어를 추가해줍니다.

git 2022.07.01

error rsocket run on mac os

프로젝트 의존성 테스트 목적의 실행에서 왜 에러가 나는지? 안녕하세요! 2년 만에 rsocket 테스트좀 해보려고 하는데, 실행하자마자 바로 에러가 나서 시간을 조금 허비했네요. spring.start.io 에서 rsocket, r2dbc, lombok, h2만 추가하고 실행한 결과입니다. Error starting ApplicationContext. To display the conditions report re-run your application with 'debug' enabled. 2022-06-11 14:20:57.805 ERROR 45141 --- [ main] o.s.boot.SpringApplication : Application run failed org.springframework.c..

Java 2022.06.11

k8s: yaml 파일 구조 - 2

안녕하세요. 2022.05.18 - [kubernetes] - k8s: minikube 클러스터 만들기 - 1 이전 글에서 minikube 클러스터 구축과 간단한 실습 후 h2 db yaml 파일로 배포 및 정리 글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유튜브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X48VuDVv0do&t=2623s CUD - deploy command 이후 deployment, service, configmap, ingress, pod는 yaml 파일로 선언, apply 명령어로 배포합니다. 생성, 수정 kubectl apply -f [file-name] 삭제 kubectl delete -f [file-name] 세 가지 영역의 yaml 파일 구조 metad..

kubernetes 2022.05.31

상가 투자

좋은 것을 골라내는 것보다 안 좋은 것을 걸러내는 것. 값이 싼 것은 이유가 있다. 잘못된 투자는 손절매를 빠르게 해야 하는 것이 고수다. 작은 실패를 끌고가면 실패가 크게 느껴지는 왜곡이 생길 수 있다. 원칙을 지키면서 투자를 해야 결과가 좋다. (감으로 했던 사례) 항아리 상권 항아리 내 확실한 수요 제한적 수요 입지 절대적으로 중요 투자금이 늘어난다 하더라도 좋은 입지를 선정하는 것 행크TV에서...

부동산/상가 2022.05.21

k8s: minikube 클러스터 만들기 - 1

안녕하세요. 해당 포스팅은 minikube를 활용한 샘플 애플리케이션 배포 실습 과정입니다. 주된 목적은 yml 작성 연습 및 이해입니다. 따라서, 튜토리얼 진행 중 작성자가 궁금한 내용을 (쿠버네티스 공식 튜토리얼 외) 실습으로 포함할 수 있습니다. https://kubernetes.io/ko/docs/tutorials/hello-minikube/ Hello Minikube 이 튜토리얼에서는 Minikube와 Katacoda를 이용하여 쿠버네티스에서 샘플 애플리케이션을 어떻게 실행하는지 살펴본다. Katacode는 무료로 브라우저에서 쿠버네티스 환경을 제공한다. 참고: 로컬에서 kubernetes.io minikube는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minikube 클러스터 만들기 minikube sta..

kubernetes 2022.05.18

mac podman - Error: statfs /var/www: no such file or directory

안녕하세요. docker desktop을 지우고 podman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일반적인 `docker` 명령어를 `podman`으로 바꿔서 입력하면 똑같다고 느껴져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른건 괜찮은데, nginx 컨테이너를 띄우고 볼륨을 마운트 하려고 하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났습니다. Error: statfs /var/www: no such file or directory 관련 에러 해결 방법을 찾아보니, podman machine 을 시작할 때 머신에 마운트를 걸어야 컨테이너에서 바인딩이 되는 걸로 확인했습니다. 바로 입력해봅니다. podman machine init -v ${HOME}:${HOME} 정상적으로 바인딩 되었고, podman run -d -p 80:80 --rm -v /var/ww..

Docker/Volume 2022.05.07
반응형